챕터 3 4-1 정리

2020. 11. 25. 03:18컴퓨터 네트워크

Principles of Congestion Control

Congestion: network로 보내진 수가 처리할 수 있는 수보다 더 커지면 발생, 너무 많은 source들이 너무 많은 data가 와서 조절이 불가능

 

Congestion control: sending rate를 줄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efficiency와 fairness가 관건

 

Causes/costs of congestion: scenario 3

일반적으로 rate를 증가시키면 throughput도 증가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throughput이 감소하게 되어 거의 0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Congestion Control

어느 knee부터 증가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cliff부분에서 congestion collapse가 발생합니다.

Approaches to congestion control

Implicit congestion control: 라우터에서 알려주는 메커니즘이 없어서 확실하게 알 수 없기에 end system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보고 추론을 해야합니다. TCP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TCP는 packet loss를 통해 추론합니다.

Explicit congestion control: 라우터에서 정보를 확실히 전달해줍니다. 그 방법은 BECN(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과 FECN(Forward)가 있습니다.

Case study: ECN in IP/TCP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ECN은 AQM(Active Queue Management) 메커니즘입니다.

ECN bits

IP 헤더와 TCP 헤더에 있는 비트들입니다.

ECT: ECN Capable Transport

ECE: ECN Echo flag

CWR: Congestion Window Reduced flag

ECN in IP/TCP (1)

ECN과 ECN 양쪽을 확인하고 0,1 신호를 보냅니다.

ECN Negotiation in TCP

ACK를 보냅니다.

ECN in IP/TCP(2)

ECT(0) 10 =>11

ECT(1) 01 =>11

ECN in IP/TCP(3)

헤더쪽에 set을 보냅니다.

ECN in IP/TCP(4)

ECN in IP/TCP(5)

ECN in IP/TCP(6)

ECE = 1을 계속 보냅니다. CWR이 1이 될 때까지

ECN-NS

Nonce Sum

룰을 따르지 않음

0이 왔으면 0을 보내고 ECT(1)에서 Congestion이 발생하면 ECE=1을 보내줍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cketProgramming1  (0) 2020.10.31
2장 요약  (0) 2020.10.25
1장 정리  (0) 2020.10.25
3장 정리  (0) 2020.10.25
3장 1~3 요약(미완성)  (0) 2020.10.21